English | 简体中文 | 繁體中文 | Русский язык | Français | Español | Português | Deutsch | 日本語 | 한국어 | Italiano | بالعربية

Scala 연산자

연산자는 컴파일러에게 지정된 수학적运算과 논리적运算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기호입니다.

Scala는 다음과 같은 여러 유형의 내장 연산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:

  • 수학 연산자

  • 관계 연산자

  • 논리 연산자

  • 비트 연산자

  • 대입 연산자

이제 우리는 위의 여러 연산자의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
수학 연산자

다음 표는 Scala가 지원하는 수학 연산자를 나열합니다.

변수 A를 가정하면: 10B는 20:

연산자설명예제
+더하기A + B 계산 결과는 30
-A - B 계산 결과는 -10
*A * B 계산 결과는 200
/구분자B / A 계산 결과는 2
%나머지B % A 계산 결과는 0입니다

온라인 예제

object Test {
   def main(args: Array[String]) {
      var a = 10;
      var b = 20;
      var c = 25;
      var d = 25;
      println("a + b = ", + (a + b));
      println("a - b = ", + (a - b));
      println("a * b = ", + (a * b));
      println("b / a = ", + (b / a));
      println("b % a = ", + (b % a));
      println("c % a = ", + (c % a));
      
   }
}

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가 나타납니다:

$ scalac Test.scala 
$ scala Test
a + b = 30
a - b = -10
a * b = 200
b / a = 2
b % a = 0
c % a = 5

관계 연산자

다음 표는 Scala가 지원하는 관계 연산자를 나열합니다.

변수 A를 가정하면: 10B는 20:

연산자설명예제
==일치(A == B) 계산 결과는 false입니다
!=불일치(A != B) 계산 결과는 true입니다
>이상(A > B) 계산 결과는 false입니다
<이하(A < B) 계산 결과는 true입니다
>=이상(A >= B) 계산 결과는 false입니다
<=이하(A <= B) 계산 결과는 true입니다

온라인 예제

예제

object Test {
   def main(args: Array[String]) {
      var a = 10;
      var b = 20;
      println("a == b = "} + (a == b) );
      println("a != b = " + (a != b) );
      println("a > b = " + (a > b) );
      println("a < b = " + (a < b) );
      println("b >= a = " + (b >= a) );
      println("b <= a = " + (b <= a) );
   }
}

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가 나타납니다:

$ scalac Test.scala 
$ scala Test
a == b = false
a != b = true
a > b = false
a < b = true
b >= a = true
b <= a = false

논리 연산자

다음 표는 Scala가 지원하는 논리 연산자를 나열합니다.

변수 A를 가정하면: 1B가 0입니다:

연산자설명예제
&&논리 과(A && B) 연산 결과가 false입니다
||논리 이거나(A || B) 연산 결과가 true입니다
!논리 비!(A && B) 연산 결과가 true입니다

온라인 예제

object Test {
   def main(args: Array[String]) {
      var a = true;
      var b = false;
      println("a && b = " + (a&&b) );
      println("a || b = " + (a||b) );
      println("!(a && b) = " + !(a && b) );
   }
}

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가 나타납니다:

$ scalac Test.scala 
$ scala Test
a && b = false
a || b = true
!(a && b) = true

비트 연산자

비트 연산자는 이진 비트에 대한 연산을 수행합니다. ~, & , |, ^는 비트 반전, 비트 앤드, 비트 이온, 비트 이이치 연산을 나타냅니다. 다음은 예시입니다:

pqp & qp | qp ^ q
00000
01011
11110
10011

A를 지정하면: 60; 그리고 B = 13; 두 변수의 이진수는 다음과 같습니다:

A = 0011 1100
B = 0000 1101
-------비트 연산----------
A&B = 0000 1100
A|B = 0011 1101
A^B = 0011 0001
~A  = 1100 0011

Scala에서의 비트 연산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:

연산자설명예제
&비트 앤드 연산자(a & b) 출력 결과 12 ,이진 설명: 0000 1100
|비트 이온 연산자(a | b) 출력 결과 61 이진 설명: 0011 1101
^비트 이이치 연산자(a ^ b) 출력 결과 49 이진 설명: 0011 0001
~비트 반전 연산자(~a) 출력 결과 -61 이진 설명: 1100 0011하나의 부호 이진수의 보수 형식에서.
<<왼쪽 이동 연산자a << 2 출력 결과 240, 이진 설명: 1111 0000
>>오른쪽 이동 연산자a >> 2 출력 결과 15 ,이진 설명: 0000 1111
>>>미정의 우측 이동A >>>2 출력 결과 15, 이진 설명: 0000 1111

온라인 예제

object Test {
   def main(args: Array[String]) {
      var a = 60;           /* 60 = 0011 1100 */  
      var b = 13;           /* 13 = 0000 1101 */
      var c = 0;
      c = a & b;            /* 12 = 0000 1100 */ 
      println("a & b = " + c );
      c = a | b;            /* 61 = 0011 1101 */
      println("a | b = " + c );
      c = a ^ b;            /* 49 = 0011 0001 */
      println("a ^ b = " + c );
      c = ~a;               /* -61 = 1100 0011 */
      println("~a = " + c );
      c = a << 2;           /* 240 = 1111 0000 */
      println("a << 2 = " + c );
      c = a >> 2;           /* 15 = 1111 */
      println("a >> 2  = " + c );
      c = a >>> 2;          /* 15 = 0000 1111 */
      println("a >>> 2 = " + c );
   }
}

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가 나타납니다:

$ scalac Test.scala 
$ scala Test
a & b = 12
a | b = 61
a ^ b = 49
~a = -61
a << 2 = 240
a >> 2  = 15
a >>> 2 = 15

대입 연산자

아래는 Scala 언어가 지원하는 대입 연산자 목록입니다:

연산자설명예제
=간단한 대입 연산, 오른쪽 연산자를 왼쪽 연산자에 대입합니다.C = A + B은 A + B의 연산 결과를 C에 대입합니다
+=더하기 연산 후 대입, 양쪽의 연산자를 더하기 연산 후 왼쪽 연산자에 대입합니다.C +A = A는 C = C와 동일합니다 + A
-=빼기 연산 후 대입, 양쪽의 연산자를 빼기 연산 후 왼쪽 연산자에 대입합니다.C -A = A는 C = C와 동일합니다 - A
*=곱하기 연산 후 대입, 양쪽의 연산자를 곱하기 연산 후 왼쪽 연산자에 대입합니다.C *A = A는 C = C와 동일합니다 * A
/=나누기 연산 후 대입, 양쪽의 연산자를 나누기 연산 후 왼쪽 연산자에 대입합니다.C /A = A는 C = C와 동일합니다 / A
%=나머지 연산 후 대입, 양쪽의 연산자를 나머지 연산 후 왼쪽 연산자에 대입합니다.C %= A는 C = C % A와 동일합니다
<<=비트별 좌측 이동 후 대입C <<= 2 C = C << 2
>>=비트별 우측 이동 후 대입C >>= 2 C = C >> 2
&=비트별 앤 연산 후 대입C &= 2 C = C & 2
^=비트별 이이푸 연산 후 대입C ^= 2 C = C ^ 2
|=비트별 연산 후 대입C |= 2 C = C | 2

온라인 예제

object Test {
   def main(args: Array[String]) {
      var a = 10;       
      var b = 20;
      var c = 0;
      c = a + b ;
      println("c = a") + b + c );
      c += a ;
      println("c") += a + c );
      c -= a ;
      println("c") -= a " + c );
      c *= a ;
      println("c") *= a " + c );
      a = 10;
      c = 15;
      c /= a ;
      println("c") /= a + c );
      a = 10;
      c = 15;
      c %= a ;
      println("c %= a  = " + c );
      c <<= 2 ;
      println("c <<= 2  = " + c );
      c >>= 2 ;
      println("c >>= 2  = " + c );
      c >>= a ;
      println("c >>= a  = " + c );
      c &= a ;
      println("c &= 2  = " + c );
     
      c ^= a ;
      println("c ^= a  = " + c );
      c |= a ;
      println("c |= a  = " + c );
   }
}

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가 나타납니다:

$ scalac Test.scala 
$ scala Test
c = a + b  = 30
c += a  = 40
c -= a = 30
c *= a = 300
c /= a  = 1
c %= a  = 5
c <<= 2  = 20
c >>= 2  = 5
c >>= a  = 0
c &= 2  = 0
c ^= a  = 10
c |= a  = 10

연산자 우선순위는 연산자 그룹에 따라 결정되며, 계산식의 계산에 영향을 미칩니다.

예제: x = 7 + 3 * 2; 여기서 x 계산 결과는 13, 대신 20, 곱하기(*)는 더하기(+) 그래서 먼저 계산 3*2 추가로 7.

아래 표를 참조하세요. 우측에서 좌측으로 차례대로 감소하는 우선순위를 가집니다. 가장 위의 것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. 콤마 연산자는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.

분류연산자관련성
1() []왼쪽에서 오른쪽으로
2!  ~오른쪽에서 왼쪽으로
3*  /  %왼쪽에서 오른쪽으로
4+  -왼쪽에서 오른쪽으로
5>> >>> <<왼쪽에서 오른쪽으로
6> >=  < <=왼쪽에서 오른쪽으로
7==  !=왼쪽에서 오른쪽으로
8&왼쪽에서 오른쪽으로
9^왼쪽에서 오른쪽으로
10|왼쪽에서 오른쪽으로
11&&왼쪽에서 오른쪽으로
12||왼쪽에서 오른쪽으로
13=  +=  -=  *=  /=  %= >>=  <<=  &=  ^=  |=오른쪽에서 왼쪽으로
14,왼쪽에서 오른쪽으로